고양이가 쓴 원고를 책으로 만든 책 - 새끼 고양이, 길 잃은 고양이, 집 없는 고양이를 위한 지침서

고양이가 쓴 책이 있습니다. 더 정확히 말하면 고양이가 타이핑한 원고를 번역한 책입니다. 원고 는 숫자와 문자의 조합으로 이뤄진 암호문처럼 보였습니다. 넓적한 앞발로 자판을 친 오타임을 알아채자 원고는 사람이 아니라 뛰어난 지능을 지닌 고양이가 쓴 것이 분명했습니다. 오타에 익숙해지자 제대로 타자한 원고처럼 번역할 수 있었습니다. '인간과 고양이의 관계에 대한 비법과 처세술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책(18)'이었습니다. 고양이가 인간을 접수하는 걸로 시작합니다. '고양이가 인간 세계로 들어가는 일'을 접수한다고 해. 고양이가 인간의 집으로 들어가는 순간, 하룻밤 사이에 '인간의 습관과 버릇도 바뀌고, 집도 더 이상 인간의 것(18)'이 아니라 고양이 차지가 돼. 이걸 접수하기라고 부르지. '인간 남자는 대체로 불안정한 종이야. 게다가 특히 집안 문제에는 우유부단하지. 이런 면을 이용하면 인간 남자를 다루기란 식은 죽 먹기야(35)'. '인간이 사물이나 동물을 인간에 비겨 표현하는 것(40)'을 의인화라고 해. '인간 남자를 다룰 때 가장 중요한 것은, 항상 남자가 자기 마음대로 하고 있다고 생각하게끔 만드는 거야(36)'. 인간 남자의 이런 생각을 이용해 적당히 구워삶으면 인간 남자는 고양이를 인간 여자와 같은 존재로 여기게 돼. 인간 남자를 구워삶는 방법을 인간 여자에게 쓰면 안 돼. '인간 여자도 우리 고양이랑 똑같은 방법을 인간 남자에게 써먹기 때문이야(40)'. '인간 여자를 우리 고양이와 비슷한 존재로 생각하도록 해.' '그러면 인간 여자는 늘 고양이 편에 서서 인간 남자에게 맞서는 동맹군이 될 거야. 그다음에는 인간 여자와 함께 안락하고 평화로운 휴전 상태로 살 수 있어(42)'. '인간 아기가 고양이를 괴롭히는 이유는 고양이를 자기와 똑같은 인간 아기로 여기기 때문이야(46)'. 인간은 의인화를 잘하기 ...